요즘은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와 같은 ott 플랫폼이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많은 MZ세대들은 이제 일반 유선 및 케이블 TV보다 ott 플랫폼을 더 선호하는데요. 특히 코로나 시대에 많은 인기를 얻기 시작한 ott 뜻과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ott 뜻
ott는 'over the top'의 앞 글자만 딴 줄임말입니다. 그리고 'over the top'에서 top은 셋톱박스(set-top box)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것을 종합해보면 ott의 뜻은 '셋톱박스를 넘어선'이라는 뜻이 되겠습니다.
우리가 일반 케이블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셋톱박스가 필요했습니다. 셋톱박스가 있어야지만이 다양한 TV 채널을 볼 수가 있습니다. 때문에 셋톱박스가 연결되어 있는 TV를 통해서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ott 플랫폼은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굳이 셋톱박스가 필요가 없습니다. 그 덕분에 우리는 인터넷이 연결된 기기라면 어떤 기기든 상관없이 ott 플랫폼으로 영상을 시청할 수가 있게 된 것입니다. 하나의 ott 플랫폼에 계정이 있다면, 핸드폰으로도, 노트북으로도 시청이 가능하며 심지어 요즘은 인터넷이 연결되는 스마트 TV가 많아져서 TV를 통해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셋톱박스가 필수였던 시대를 넘어서서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이용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ott 플랫폼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요즘은 영상 퀄리티도 FHD에서 UHD로 전환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일반 케이블 방송에서는 UHD를 지원하는 채널이 아직 제한적입니다. 하지만 많은 ott 플랫폼에서는 UHD 화질의 영상을 송출해주는데요(요금제에 따라 상이합니다). 따라서 영상을 시청하는 기기의 화질이 UHD를 지원하기만 한다면 기존보다 훨씬 더 선명한 화질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내가 원하는 콘텐츠를 내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 TV 채널은 특정 영상을 보고 싶으면 내가 방영시간에 맞추어 야만 하며 또한 그것도 셋톱박스가 연결된 TV를 통해서만 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죠. 하지만 ott 플랫폼은 내가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이 연결된 기기만 있다면 어디서든지 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을 들고 침대에 누워서 보기도 하고, 컴퓨터가 있는 책상에서 보기도 하고, 큰 화면으로 보고 싶으면 TV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펜션에 놀러 갔을 때에도 인터넷이 연결되는 영상 기기를 가지고 가서 ott 플랫폼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ott 종류
요즘은 ott 플랫폼의 인기가 워낙 많아지다 보니 플랫폼의 종류도 아주 많아졌습니다. 그중에서 인기가 많은 플랫폼 몇 가지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해외 ott 플랫폼
- 넷플릭스
- 디즈니 플러스
- 애플 tv
해외 ott의 삼대장인데요. 넷플릭스는 그중에서도 명실상부 1위를 달리는 전 세계 최대 ott 플랫폼입니다. 그만큼 수많은 콘텐츠들이 있고요. 2021년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던 오징어 게임도 넷플릭스를 통해서 독점 공개된 콘텐츠입니다.
그리고 디즈니 플러스도 무시할 수 없는데요. 특히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가지고 있는 어벤저스 그리고 그와 관련된 모든 시리즈물의 저작권은 디즈니 플러스에서 가지고 있습니다. 저작권의 힘으로 금방 덩치가 커진 ott 플랫폼인 디즈니 플러스입니다.
그리고 애플 tv가 있습니다. 요즘 유명한 한국 드라마인 '파친코'도 애플 tv에서 독점 공개 중인데요. 이처럼 애플 tv에서도 꾸준히 좋은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애플의 기기들을 이용하는 수많은 애플 유저들을 공략하면서, 많은 ott 플랫폼 중에서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국내 ott 플랫폼
- 웨이브
- 티빙
- 왓챠
- 쿠팡 플레이
그리고 인터넷 최강국인 한국답게 국내에도 많은 ott 플랫폼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잘 알려진 웨이브는 대형 3사 방송국인 kbs, mbc, sbs가 합작하여 만든 POOQ와 sk텔레콤의 oksusu가 협력하여 만든 플랫폼인데요. 그만큼 한국의 대표 콘텐츠들을 볼 수 있는 플랫폼이라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티빙은 CJ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이라 TVN의 영상들이 아주 많습니다. 특히 나영석 PD가 제작한 다수의 예능 프로그램들은 모두 티빙에서 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꾸준한 인기가 있었으며, 거기에 스우파 콘텐츠를 티빙에서 볼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ott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왓챠는 원래 영화평 기록 사이트였다고 하는데요. 지금은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으로 발전했습니다. 역시나 국내에서 꽤 많은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플랫폼입니다.
쿠팡 플레이는 쿠팡 멤버십 이용자들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쿠팡 플레이에서만 볼 수 있는 SNL 코리아가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고요. 그리고 국가대표 축구경기의 생방송 중계를 쿠팡 플레이에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ott 뜻과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점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ott 플랫폼인데요. 따라서 ott의 정확한 의미를 안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